스마트폰을 쓰다 보면 연락처 저장, 삭제, 수정 등 주소록 관리가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.
하지만 "저장했는데 왜 안 보이지?" "삭제했는데 아직 떠요!" 같은 일이 자주 생기죠.
오늘은 시니어분들도 따라 할 수 있는 연락처 관리 기초를 하나씩 쉽게 알려드릴게요.
한 번만 정확히 배워두시면, 나중에 가족이나 친구 연락처도 정리정돈이 깔끔하게 되고
스마트폰 쓰는 데 자신감도 생기실 거예요.
연락처 저장하는 가장 쉬운 방법
새로운 번호가 생기면 바로 저장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하지만 저장한 줄 알았는데 저장이 안 되어 있거나, 같은 사람이 두 번 저장되기도 하죠.
📱 방법 1: 전화 앱에서 저장하기
- 전화 온 기록 또는 숫자 키패드에서 번호를 입력합니다.
- 하단에 [연락처에 추가] 또는 **[새 연락처 생성]**이라는 메뉴를 터치합니다.
- 이름과 번호를 입력하고 **[저장]**을 누릅니다.
👉 이때 ‘저장 위치’를 확인하세요!- ‘휴대폰’ 또는 ‘Google 계정’ 중 선택할 수 있는데,
‘Google 계정’에 저장하면 나중에 다른 휴대폰에서도 다시 불러올 수 있어요.
- ‘휴대폰’ 또는 ‘Google 계정’ 중 선택할 수 있는데,
📲 방법 2: 연락처 앱에서 직접 저장하기
- 홈 화면에서 ‘연락처’ 또는 ‘주소록’ 앱을 터치합니다.
- 오른쪽 아래 또는 위에 있는 ➕ 버튼(‘연락처 추가’)을 눌러주세요.
- 이름, 전화번호, 이메일 등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끝입니다.
💡 팁: 이름 뒤에 [딸], [이웃], [교회], [병원] 등 메모를 넣어두면 헷갈리지 않아요.
예: ‘민수 아들(딸)’, ‘홍길동 병원(이비인후과)’
연락처 수정 및 삭제 – 중복 연락처도 정리하는 법
스마트폰을 오래 쓰다 보면 중복된 연락처가 생기기 마련입니다.
예를 들어, 같은 사람인데 ‘홍길동’, ‘길동이’, ‘홍사장님’으로 저장된 경우죠.
이럴 때는 아래와 같이 정리해 주세요.
📝 연락처 수정하기
- ‘연락처 앱’ 또는 ‘전화 앱’에서 원하는 사람을 찾습니다.
- 연락처를 누르면 오른쪽 상단에 연필 모양(수정) 아이콘이 있어요.
- 이름, 번호, 이메일, 메모 등 원하는 부분을 수정하고 저장합니다.
🗑️ 연락처 삭제하기
- 연락처를 열고 오른쪽 위에 있는 점 3개 아이콘(⋮) 또는 메뉴 버튼을 누릅니다.
- **[삭제]**를 선택하면 바로 삭제됩니다.
👉 실수로 삭제해도 Google 계정에 연동돼 있다면 복원이 가능합니다.
📌 중복 연락처 정리하기
- 일부 스마트폰에는 ‘중복 연락처 병합’ 기능이 있습니다.
‘연락처 > 설정 > 중복 연락처 정리’ 메뉴로 들어가면 자동으로 합쳐줍니다.
안 되면 수동으로 이름을 맞춰 수정하거나 하나를 삭제하세요.
연락처 백업 및 복구 – 스마트폰 바꿔도 걱정 없는 저장법
휴대폰을 새로 바꾸거나, 실수로 초기화했을 때 연락처가 사라지면 당황스럽죠.
하지만 요즘은 Google 계정 백업을 활용하면 언제든 복구할 수 있습니다.
🔐 Google 계정에 연락처 저장하기
- 연락처 저장 시, ‘저장 위치’를 ‘Google 계정’으로 설정하면 됩니다.
이건 한 번만 설정해두면 자동으로 연동됩니다. - ‘설정 > 계정 > Google 계정 > 연락처 동기화’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☁️ 연락처 백업하는 방법
- 삼성 스마트폰:
‘삼성 클라우드’ 앱에서 백업 가능 → 연락처만 따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. - LG/기타 안드로이드폰:
‘설정 > 계정 > Google 계정’에서 ‘연락처 동기화’ 켜기 - 아이폰:
‘설정 > iCloud > 연락처’ 활성화
♻️ 연락처 복원 방법
새로운 스마트폰에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하면,
예전에 저장한 연락처가 자동으로 불러와집니다.
예전처럼 수첩에 다시 옮길 필요가 없어요.
주소록 활용 꿀팁 – 즐겨찾기와 그룹 정리 방법
연락처가 너무 많아지면 원하는 사람을 찾기 힘들 수 있어요.
이럴 땐 ‘즐겨찾기 등록’ 또는 ‘그룹 분류’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.
⭐ 즐겨찾기 등록 방법
- 자주 통화하는 사람을 연락처에서 선택합니다.
- 상단에 있는 별표(★)를 터치하면 ‘즐겨찾기’에 등록됩니다.
- 전화 앱에서 ‘즐겨찾기’ 탭만 눌러도 쉽게 찾을 수 있어요.
👥 연락처 그룹 만들기
- ‘연락처 > 그룹’ 메뉴로 들어갑니다.
- ‘가족’, ‘친구’, ‘병원’, ‘교회’ 등 원하는 그룹을 추가합니다.
- 각 그룹에 알맞은 사람을 배정해 놓으면 정리가 한눈에 됩니다.
📤 단체 문자 보내기
- 그룹 기능을 활용하면, 가족이나 모임 단톡방처럼
여러 명에게 한 번에 문자나 알림을 보낼 수 있어요.
특히 약속이나 모임을 알릴 때 유용하답니다.
마무리하며 – 주소록도 ‘디지털 정리’가 중요합니다
주소록 관리는 단순한 저장을 넘어서,
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고, 안전하게 보관하며,
일상 속 연락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작업입니다.
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더라도,
오늘 알려드린 방법대로 차근차근 연습하신다면
어르신들도 혼자서 충분히 연락처를 정리하고 백업하실 수 있습니다.
👨👩👧👦 오늘 바로 가족 연락처를 확인해 보고,
별표로 ‘즐겨찾기’ 설정부터 해보는 건 어떠세요?
'시니어를위한 디지털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니어도 쉽게 배우는 지도·내비 사용법 (0) | 2025.07.23 |
---|---|
시니어 스마트폰 알람 · 미리알림 설정법 - 약속과 약 복용도 잊지 않아요! (1) | 2025.07.23 |
시니어 스마트폰 사진 기초 - 촬영부터 저장까지 쉽게 배우기 (2) | 2025.07.22 |
스마트폰 초보 시니어를 위한 유튜브 활용법 A to Z (6) | 2025.07.21 |
부모님을 위한 카카오톡 설치 방법 한눈에 보기 (2) | 2025.07.21 |